티스토리 뷰
자진 퇴사자 실업급여 신청 기간, 지급 방법, 필수 정보 안내합니다
자산@ 2024. 7. 1. 19:35자진 퇴사 후에도 실업급여 를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 포스팅에서는 자진 퇴사자를 위한 실업급여 지급 조건부터 신청 과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자진 퇴사, 실업급여 받을 수 있어?
자진 퇴사도 특정 상황에서 실업급여 를 받을 수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는 그렇지 않지만, 몇 가지 예외적인 상황에서는 가능합니다. 예를 들어,
- 고용주의 계약 위반 (예: 약속된 승진이나 급여 인상 미이행)
- 신체적 또는 정신적 질병으로 인한 퇴사
- 주요 보호자가 간병이 필요한 경우 (예: 배우자, 부모, 자녀)
- 기타 특별한 사유 (예: 학업 등)
이러한 경우에는 실업급여 신청을 통해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.
실업급여 수령 조건, 간단히 확인
다양한 실업급여 유형이 있으며, 각각의 수령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:
유형 | 보험료 납부 조건 | 해고 유형 | 실업인정 | 직업훈련 |
일반실업급여 | 최근 2년간 6개월 이상 | 조업정지, 임시휴업 등 | 공공직업안정소 인정 | 종료 후 최장 4주 |
구조조정급여 | 최근 7년간 1년 6개월 이상 | 산업구조 조정에 따른 노동자 해고 | 중앙고용보험관리공단 인정 | 필수 |
전업주부실업급여 | 최근 3년간 2년 이상 | 배우자의 해고, 사망 등 | 주민등록지 시장, 군수 인정 | 임의 |
인턴실업급여 | 최근 1년간 6개월 이상 | 인턴 날짜 종료 | 고용보험기관 지정 기관 인정 | 필수 |
청년실업급여 | 최근 2년간 6개월 이상 | 청년 인턴 20세 이상 36세 미만 | 중앙고용보험관리공단 인정 | 필수 |
위 표는 실업급여 수령 조건을 요약한 것입니다.
목차
금액 계산 및 신청부터 지급까지
자진 퇴사자가 실업급여 를 신청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자격 확인 : 최근 3년 이내 고용보험 가입 기간 확인
- 금액 계산 : 직전 3개월 임금을 기준으로 일일 근로 소득 계산
- 신청 & 지급 : 신청 후 일정 기간 내에 지급
합당한 자진 퇴사 사유
자진 퇴사자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 실업급여 를 받을 수 있습니다:
- 건강 상의 사유
- 가족 사유
자진 퇴사자도 일정한 조건 하에 실업급여 를 받을 수 있습니다. 특정 상황에서 신청하여 기본 지원금을 받을 수 있으니, 자세한 사항은 관련 기관에 문의하거나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.
자진 퇴사자 실업급여 안내
자진 퇴사자 실업급여란?
자진 퇴사한 근로자가 실업급여 를 받을 수 있는 경우에 대해 안내합니다.
자진 퇴사자의 실업급여 지급 조건
조건 | 내용 |
자진 퇴사 사유 | 업무 불만족 등의 개인 사정으로 인한 자진 퇴사일 경우 |
근로기준법 제95조 제2항에 의한 정의 | 근로자가 자진으로 퇴사한 경우, 퇴직사유를 근로자가 증명해야 함 |
실업급여 신청 기간 | 자진 퇴사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신청해야 함 |
고용보험 가입 기간 | 최근 12개월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어야 함 |
보험료 납부 기간 | 최근 6개월 이내에 고용보험료를 납부한 기록이 있어야 함 |
실업급여 지급 기간 | 최대 240일 동안 지급 가능 |
급여액 계산 기준 | 최근 3개월간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실업급여 액수를 결정 |
자진 퇴사자 실업급여 관련 유의 사항
유의 사항 | 내용 |
실업급여 지급 중지 사유 | 근로자가 고의로 실업급여를 취득하거나 이를 방해한 경우 등 |
실업급여 지원 서류 | 신청 시 필요한 서류: 퇴직 사유를 설명하는 자진 퇴사 사유 증명서 등 |
신청 및 문의 절차 | 고용노동부 지정 실업급여 지원 기관을 통해 신청 및 상담 가능 |
추가 문의 사항 | 실업급여 지급 기준이나 절차에 대한 추가적인 문의는 직접 문의 필요 |
댓글